티스토리 뷰

Intro

목표 2,

수긴데요 2023. 4. 4. 17:32

이 글은 목표 1,에서 이어집니다.

 

45세엔 글로벌 기업을 다니면서,
재직 중인 기업의 투자를 받아
내 브랜드의 내 제품을 런칭하고
3개국 이상의 소비자에게 사랑을 받자

 

 

 

지표 공부를 하면서 OKR을 탐구한 적이 있다.

(OKR은 정리해 포스팅 예정)

 

커리어 목표를 설정해 두고, 핵심 지표를 단기 목표로 설정해 두면

조금 더 방향을 잃지 않고 적절한 Initiative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그래서 내 취향을 가득 담아 간단한 Objective를 설정해 보았다.

 

 

 

세계인에게 사랑받는 브랜드 런칭

 

 

 

다 좋았는데 뭔지 모를 중압감이 느껴졌다.

개인이 꿈꾸기엔 다소 거대한 Objective가 아닌가 싶었다.

내가 가진 리소스로 Key Result를 설정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였다.

 

그래서 살짝 구체화시켜봤다, 50이 넘어서 이루고 싶지 않다. 한.. 45세 정도?

젊은 나이에 글로벌 서비스를 런칭하려면 인프라가 필요했다. 다국적 기업 같은?

사내 벤처 시스템이 있는 회사면 더 좋을 것 같다.

 

세계인도 너무 큰 것 같아 3개국 이상으로 구체화했다.

근거는 없다, 3개국 정도면 글로벌 서비스라 해도 괜찮아 보여서..

하여튼, 이렇게 목표를 조금 구체화해 보니 OKR에서 말하는 Objective와는 거리가 생겼다.

이 글은 OKR이랑은 상관없다, 참고

 

 

 


45세 글로벌 기업에 재직, 회사의 투자, 내 브랜드 내 제품 런칭, 글로벌 성공


이제 좀 나눠서 살펴보자,

먼저, 45세 글로벌 기업에 재직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건강 : 72kg - 체지방 18% 

45세에도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리드하고,

실무자들과 함께 일하기 위해서는 체력을 뒷받침할 건강이 중요하다.

건강한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을 목표로 몸무게와 체지방 지표를 설정했다.

 

영어 : OPIc AL - 회화 영어 소모임 - 온라인 네트워킹

글로벌 기업에서 일을 한다는 것은 결국

"영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가"가 핵심이다.

내가 가진 리소스에선 일단은 이 정도가 최선이지 않을까 싶다.

 

 

 

두 번째, 회사의 투자

창업하겠다며 기웃거릴 때, 투자받는 대표들의 특징을 혼자 분석해 본 적이 있다.

1. 학벌 : 네트워크 때문인 것으로 기억한다.

2. 성공 경험 : 여러 번 실패를 한 것이 아니면 성공 경험이 더 어필 됐다.

3. 깔끔한 이미지 : 이건 확실하다. 깔끔한 논리, 깔끔한 PT, 설득력 있는 목소리

 

성공 경험 : 7번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 성공

직장인으로서 성공을 한다는 것은 결국 프로젝트 성공이다.

제품 기획 또는 개선 프로젝트를 맡아 성과를 내는 경험이 필요하다.

제품 생애주기가 짧아지는 요즘 기회는 많지 않을까 싶다.

 

이미지 : 신뢰감을 주는 외형

노력해봐야지..

 

 

 

그다음, 내 브랜드 내 제품 런칭

좋은 브랜드는 좋은 가치를 전달한다.

어떤 브랜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브랜드 전체를 매니지먼트하는 '내가' 갖춰야 할 특징은 명확하다.

 

가치관 : 포용적 사고

편협한 사고는 많은 리스크를 야기한다.

요즘 같은 시대엔 그 어느 때보다 표용적인 사고가 중요하다.

그리고 애초에 내 모토가 "이유가 있다면 그럴 수 있어"인데, 이건 쉽다.

 

브랜딩 : 개인 브랜딩 채널 운영

P가 고정인 나에게 정말 어려운 일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내 가치관을 알리는 작업이라면

즐겁게 할 자신이 있다.

 

트렌드 파악 : 산업 트렌드에 꾸준한 관심

유튜브, 브런치, 웹진, 뉴스레터 등..

비판적 사고를 갖고 본다면, 유용한 정보가 넘치는 세상이다.

내가 정리해서 포스팅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관심 도메인 : 개인 관심사를 살려 전문 도메인 스터디

최근 관심사는 AI인데, 언제 관심사가 바뀔지 몰라서

최대한 비슷한 분야의 정보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컨퍼런스에 참석해 봐야겠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성공

B2B는 판단이 서지 않지만 B2C는 도메스틱으로 15년 뒤엔 힘들 것 같다.

시장은 늙어가고 있고, 최소 20억 인구가 찾는 서비스를 만들고 싶다.

그렇기 위해선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다.

 

제2 외국어 : 생활 회화

말은 그 나라의 문화&가치를 담고 있다.

비즈니스가 아닌 일상생활 수준의 회화를 한다면

그 문화권의 생각을 쉽게 이해하지 않을까?

 

해외 경험 : 해외 대도시 살아보기

IT 서비스는 인프라가 있는 대도시에서 발달한다.

언어를 배웠다면 그 나라의 가장 큰 도시에 살면서

그들의 니즈를 몸소 체험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사용자 이해 : 제품에 대한 깊은 사용 경험

사용한 적 없다면 판단하지 말아야 한다.

궁예하지 않도록 항상 제품을 실제로 내가 사용해 보고,

관련 포럼에서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는 것은 중요하다.

 

마인드 셋 : 사용자 친화적 마인드

현직에 있다 보면 "이럴 수밖에 없는 이유"를 찾게 된다.

꼭 나쁜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니즈를 해결하는 것엔

방해가 될 것 같다. 조심해야지.

 

정리해 봤다.

아주 간단하게만 적은 내용이라

앞으로 계속 수정될 것 같다.

그래도 지금 시점에서 이런 단기 목표를 설정해 둬야

내가 움직일 것 같다. 한번 해보자 아자아자

 

취업도 힘든데 이걸 다 어떻게 하겠지.. 하긴 하겠지..

기록도 해야지.. 안 하면 아무도 모른다니까..

'Intr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기] 작업을 위한 데스크 셋팅 (Feat. 당근)  (1) 2023.10.25
가을이 되서 끄적이는 2023 상반기 회고록  (1) 2023.10.15
목표 1,  (0) 2023.04.03
시작,  (0) 2023.03.31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